지금의 '통합 삼성물산'은 지난 2015년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합병하면서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회계법인들은 합병 전, 제일모직의 바이오 사업 가치를 3조 원으로 평가했는데, 이 평가가 실제 조사도 없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합병에서 제일모직의 가치가 커질수록 이재용 부회장이 유리한 구조였는데, 검찰은 사실상 허위 보고서로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권남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5년 만들어진 삼성물산-제일모직 합병비율 검토보고서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4대 회계법인으로 꼽히는 딜로이트안진과 삼정케이피엠지가 각각 작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합병에서는 제일모직의 가치가 높을수록 이재용 부회장의 지배력이 강화되는 유리한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두 회계법인은 제일모직의 가치를 계산하면서 바이오 사업 부문을 3조 원 정도로 평가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무런 실사 없이 평가가 이뤄진 사실이 최근 검찰 조사에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회계법인들이 실제 평가도 없이 3조 원짜리 사업이라고 보고서를 쓴 겁니다. <br /> <br />삼성 측의 요구에 따라 작성된 허위 보고서라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손혁 / 계명대 회계학전공 교수 : 진실한 수치인지를 확인해보는 실사 작업은 기업가치 평가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. (실사 작업 없이) 가치평가 보고서가 작성되는 일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다 3조 원으로 평가된 이 사업이 실제로는 실체가 없다는 의혹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유령사업부문'이라는 건데, 앞서 특검 조사 때는 제일모직 측이 해당 사업을 모른다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연금 측이 제일모직의 바이오 사업부가 뭐냐고 묻자 처음에는 모른다고 했다가, 나중에서야 에버랜드 동식물을 활용한 바이오 사업이라고 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 보고서들은 합병 전 주주들을 설득하고 합병 비율을 계산하는 데 이른바 '객관적인 자료'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 관계자는 해당 사업이 실체가 없다는 의혹에 대해 "수사 초기부터 주목했고, 상당 부분 진행됐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합 삼성물산 측은 현재 해당 사업 부문이 어떻게 돼 있느냐는 YTN의 질문에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남기[kwonnk0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2405055910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